분류 전체보기(33)
-
(프로젝트) 상상 캠퍼스, 팝업 퍼포먼스 <노니노니방>
예술가들이 수원시에 대한 놀잇감을 만들고 시민들과 함께 그것으로 노는 프로젝트입니다. 수원의 철새와 화성을 테마로 두 가지 놀잇감을 제작했습니다. ● 노니노니방● 기간 : 2019.9.7● 장소 : 수원 상상캠퍼스 ● 참여작가 : 고륜호, 구은정, 김예원, 김진주, 이재환, 조동광, Playlink, 최선영● 기획 : 비기자
2024.04.07 -
(전시) 송은 아트큐브, <오늘의 속도와 밀도>
공백의 속도와 밀도주변을 둘러본다. 의자, 책상, 스마트폰, 컴퓨터 등. 여러 사물과 이미지들이 눈에 들어온다. 아마 책을 읽거나 실패했을 것이고, 누군가에게 메시지를 보냈거나 통화를 했을지도, 의미 없는 무언가를 검색하며 시간을 보내고 있는지도 모른다. 공간과 시간 그리고 그 안의 사물과 이미지, 이런 외부적 요소들과 끊임없는 실재적, 관념적 관계를 설정하는 순간의 연속이 바로 개인이 감지하는 현재일 것이다. 그렇게 오늘이 외부와의 관계 맺음을 통해 조직된다는 다소 뻔한 이 항구적 법칙은 삶에서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다시 주변을 둘러본다. 사물과 사물 사이, 공간과 공간 사이를 본다. 아니 그 보이지 않는 시공을 상상해 본다. 다양한 사물과 이미지로 만들어진 주변에서 아무것도 없는 주변을, 공란의 상태..
2024.04.07 -
(전시) 스페이스 선+, <물이 들어온다>
하루에 두 번 물때에 맞춰 파도가 되는 퍼포먼스를 진행했습니다. 파도가 칠 때마다 전시장의 모습은 바뀝니다. 파도가 치고 나간 후 남겨진 것들에 대해 생각합니다. ● 물이 들어온다 ● 기간 : 2017.9.26.-10.8.● 장소 : 스페이스 선+● 작가: 구은정
2024.04.07 -
(프로젝트) 반짝반짝 지구상회, 재주도 좋아
"반짝반짝 지구상회''는 제주도에 위치한 곳으로 바다에서 주운 쓰레기로 만든 각종 예술품을 전시하고 판매하는 공간입니다. 2017년 이 곳에서 주최한 제주도 살기 한 달 레지던시에 참여했습니다. 그리고 결과물을 비치코밍 페스티벌에 전시했습니다. 제주도에 머물며 발견했던 것은 스티로폼이나 플라스틱이 여름에 뜨거운 온도에 녹아 현무암에 늘러붙어 있던 것이었습니다. 어떤 것들은 늘러 붙은 상태로 암석처럼 되었고 그 위에 조개들이 붙어 살기도 했습니다. 마치 새로운 생태계가 형성된 것처럼 보였습니다. ● 비치코밍 페스티벌● 기간 : 2017.10.28.● 장소 : 반짝반짝 지구상회● 참여작가 : 공영선, 구은정, 장한나, 김신효, 정은비, 시와, 이대일, 련쑥’C, 박인선, 창작..
2024.04.07 -
(프로젝트) 예술장돌뱅이, <BAR First Love>
BAR First Love는 2016년부터 예술 장돌뱅이와 함께 틈틈히 해오던 작업입니다. 예술장돌뱅이는 무형의 자원을 교환하며 관객과 예술을 즐기는 작업을 오랫동안 해오던 팀이고 계속 활발히 활동하고 있습니다. 예술장돌뱅이 – ANT(Art Nomadic Trader) (artnt.net)BAR First Love 에서 작가는 찾아오는 사람에게 칵테일을 만들어 줍니다. 대신 그 사람은 자신의 첫사랑의 이야기를 들려주며 학을 한 마리 접어줘야 합니다. 수 많은 사람들을 만나며 오랜 시간 학을 모아왔습니다. 다는 기억나지 않지만, 그 중에는 슬픈 이야기도 있었고 웃긴 이야기도 있었고 간직하고 싶은 이야기도 있었습니다.
2024.04.07 -
(전시) 청주 옛 연초제조창, 세계 문화 대회 월드컬쳐오픈(WCO)
글로벌 공익활동가의 네트워크 월드컬처오픈(World Culture Open, WCO)과 청주시의 공동 주최로 열린 2017 세계문화대회에서 설치 전시로 참여했습니다. 식물성에서 했던 전시인 '꽃이 지고 피는 시간'을 옛 담배 공장이었던 공간에 재구성하여 설치했습니다. 지난 작업과는 달리 사람들이 둘러보며 산책하듯 다닐 수 있도록 길을 만들었습니다. 2박 3일이라는 짧은 기간동안 다양한 나라에서 많은 사람들이 왔습니다. 시간이 지나며 작품은 사라지고 어딘가에서 꽃은 더 피게 될 것입니다. ● World Culture Open, WCO ● 기간 : 2017.11.10.-11.12.● 장소 : 옛 청주 연초제조창
2024.04.07